본문 바로가기
도시지리학

도시 성장의 이론

by 아임나무 2022. 9. 28.

경제기반이론

 도시의 성장을 해석하는 이론으로 경제 메커니즘에 바탕을 둔 경제기반 이론이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이는 아마도 도시의 성장에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업중심지의 역할이 가장 오래되고 근본적인 기능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도시의 경제가 양호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도시에서 생산하는 상품이나 제공하는 서비스가 도시 외부와의 교역을 통해서 도시가 이익을 얻어야 도시의 경제를 양호하게 지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시 내부(역내)에서 생산된 상품이나 서비스가 도시 외부(역외)로 판매되는 역외판매가 도시의 경제적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렇게 도시 외부로 판매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경제활동을 기반 활동(basic activity), 관련 산업을 기반 산업(basic industry)이라 하고, 도시 내부의 수요동(non-basic activity), 관련 산업을 비기반 산업(non-basic industry)이라고 한다. 기반 산업은 도시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며, 기반 산업의 붕괴는 도시의 몰락을 가져오기도 한다. 기반 산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은 비기반산업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데, 비기반 산업은 기반 산업과 관련된 고용 인구가 도시에서 생활하는 것과 같은 여러 서비스업을 포함한다. 도시에 새롭게 공장이 들어서게 되면 공장에서 일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외부로 판매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윤이 공장에서 일하는 인구에 임금으로 지급된다. 지급된 임금을 저축하거나 소비하는 데 사용함으로써, 분배된 이윤은 도시 내의 다른 비기반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진다. 이를 설명하는 이론이 순환누적인과론이다.

 경제적 활동을 통해 도시가 유지 성장 발달하는 원리를 밀즈(Mills, 1972)는 규모(scale)의 경제, 집적경제, 그리고 비교우위로 정리했다. 먼저 규모의 경제는 어떠한 기업이 생산을 확대하거나 시설 규모를 키워 장기적으로 상품을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여서 이익을 확대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규모의 경제하에서는 생산설비가 클수록 유리하며, 대량생산을 통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생산설비의 증대는 고용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 도시에 인구의 집중을 유발한다. 순환누적인과론에 기초하면 이는 다시 서비스 산업의 증대를 유발하여 전체적으로 도시가 성장하게 된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늘어나는 인구에 대비하여 생활 기반 시설 및 교통 시설에 지속해서 투자하지 않으면, 어느 순간 도시문제에 봉착하게 된다는 점이다.

기술혁신기반이론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지리학자인 존 보처트(John Borchert, 1967)는 첫 번째 인구 총조사가 있었던 1790년부터 1960년까지의 인구의 증대를 그래프로 분석하여 인구가 매우 증가하였던 시기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발명들이 교통과 산업 에너지 분야에서 일어났으며, 이 같은 기술적 혁신에 따라 도시가 발전해 왔다고 주장했다. 첫 번째 기술적 혁신은 증기엔진을 수로와 육로 교통에 사용한 것이며, 두 번째는 풍부하고 저렴한 철을 활용하여 철로를 확장하고 이에 따른 석탄 수송의 편리성으로 중앙집중식 전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 것이며, 세 번째는 내연기관의 발명과 그에 따른 기술 및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을 말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혁신에 따라 미국의 역사 시대를 4개의 시대로 구분하였는데, 첫 번째는 수운과 역마차의 시대(1790~1830년)로 도시가 항구나 수로 수변에서 발달하는 시대이며, 두 번째는 기관차의 시대(1830~1870년)로 증기엔진의 힘을 이용한 철도와 증기선, 그리고 지역적 철도망의 건설로 특징지어진다. 세 번째는 철도의 시대(1870~1920년)로 장거리 화물열차와 국가적인 철도망의 건설이 나타난다. 네 번째 시대는 자동차-항공-어메니티의 시대(1920년 이후)로 휘발유 내연기관의 발달로 대표되는 시대다. 필립 필립스와 스탠리 브룬(Phillip Phillips & Stanley Brunn, 1978)은 이후 하나의 시대를 추가하였는데, 네 번째 시대는 1970년대까지이고, 이후의 시대는 다섯 번째의 시대로 고등기술의 시대(1970~현재)라 이름 붙였으며, 경제에서 서비스와 정보 부분이 확장되어가는 시대를 말하고 있다.

도시 경제 성장이론

 월버 톰슨(Wilbur Thompson, 1956)은 도시가 성장하는 단계를 총 5단계로 제시하였는데, 1단계에서는 도시 외부로 판매하는 제조업이 출현하는 역외 판매 전문화(export specialization) 단계다. 이후 여러 업체가 역외판매를 위하여 단지(complex)로 집적하고 외부로 판매를 시작하는 단계가 2단계다. 3단계는 경제적 성숙(economic maturation) 단계로 도시 내부의 서비스 부문이 함께 성장하는 단계이며, 4단계는 광역도시(regional metropolis)의 단계로 배후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다. 마지막 5단계는 기술적전〮문적 기교의 단계로 도시가 국가적 또는 국제적 차원에서 지배적 위상을 갖게 되는 단계이다. 이 이론도 다른 이론과 마찬가지로 모든 도시가 5단계를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 처한 상황에 따라 정체하기도 쇠퇴하기도 하고, 급속히 발전하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