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지리학13

도시의 역사 고대 도시의 성립 고대 도시의 정의에 부합되는 도시의 출현은 신석기 시대인 기원전 3500년경으로 추정된다. 인류의 역사에서 최초의 정착 주거 형태는 곡물의 경작과 함께 나타났으며 도시적 취락은 잉여 식량이 충분히 확보되면서 발생한 것이다. 식량 생산에 있어 최초의 성공적 경험은 서남아시아의 메소포타미아에 위치한 퍼타일 크레슨트 지대에서 얻을 수 있다. 이 지대는 현재의 이라크에서 시리아와 레바논을 거쳐 이스라엘과 이집트에 이르는 초승달 모양의 비교적 비옥한 지역이므로 간혹 '비옥한 초승달'로 번역하여 사용하지만, 이것은 지명을 뜻하는 고유명사에 해당하므로 원문 그대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타일 크레슨트 지대에서 인류 최초의 도시가 등장한 것은 이곳이 구대륙의 지리적 중심부에 해당하는 곳이며, 아프리.. 2022. 9. 29.
도시 성장의 이론 경제기반이론 도시의 성장을 해석하는 이론으로 경제 메커니즘에 바탕을 둔 경제기반 이론이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이는 아마도 도시의 성장에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업중심지의 역할이 가장 오래되고 근본적인 기능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도시의 경제가 양호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도시에서 생산하는 상품이나 제공하는 서비스가 도시 외부와의 교역을 통해서 도시가 이익을 얻어야 도시의 경제를 양호하게 지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시 내부(역내)에서 생산된 상품이나 서비스가 도시 외부(역외)로 판매되는 역외판매가 도시의 경제적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렇게 도시 외부로 판매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경제활동을 기반 활동(basic activity), 관련 산업을 기반 산업(basic indust.. 2022. 9. 28.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 빈곤과 슬럼 도시는 많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그 중 사람들에게 강하게 인식된 것 중 하나가 빈곤과 관련된 도시의 모습일 것이다. 도시 빈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전 세계의 도시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도시의 빈곤은 과거 도시가 형성되던 초기부터 존재했던 현상이지만, 급격한 도시화 가운데 그 상황이 악화하여 가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가 공간의 양극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도시 공간의 빈곤한 지역의 고립과 빈곤계층의 열악한 생활환경은 대무 심각한 수준이다. 도시의 높은 인구밀도는 도시를 형성하는데 기본이 되지만,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도시공간 안에서의 개인과 집단의 공간 점유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공간의 물리적 거리가 압축되고 있음에도 불.. 2022. 9. 27.
도시 경제 도시경제의 진화 도시의 발생, 성장과 발전, 쇠퇴 등에 대한 인문 지리학적 고찰은 결코 경제 지리적 과정 및 결과와 분리시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1950년대 중반 경제지리학에서 파생하여 현대적 의미의 도시지리학이 성립했던 역사가 암시하는 것처럼 도시 지리의 문제는 경제 지리의 작용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둘 사이의 관계는 한 방향의 단선적 관계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포스트메트로폴리스』에서 에드워드 소자(Edward Soja)가 강조한 것처럼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은 사회-공간 변증법적 사고와 분석의 프레임을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이현재 등, 2019). 같은 맥락에서 레드먼도 도시는 "첫 번째 요인이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등의 순으로 다른 요인을 자극한다.. 2022. 9. 27.
도시 경관과 건축 도시 경관과 도시 이미지 그리고 건축 경관(landscape)이란 지표면(land)의 형태학적 특성, 즉 풍경(scape)을 의미한다. 도시 경관(cityscape)은 지표면 중에서도 도시 공간의 형태학적 특성을 가리키는 용어다. 도시지리학에서는 도시 경관을 '관찰가능한 도시의 형태적 단위(observable units of urban form)'로 정의한다(Gregory et al.,2009). 도시지리학이 성립된 초기에는 도시 경관, 다시 말해 도시의 형태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는데 주로 토지 이용 패턴, 가로 구획, 건축물의 높이 같은 건조 환경을 주로 연구했다. 이 결과 마이클 컨젠(Michael Conzen, 1969; Gregory et al.,2009에서 재인용)은 도시 경관의 구성요.. 2022. 9. 23.
도시 재생 도시 쇠퇴 공간적 관점에서 도시쇠퇴는 도심 쇠퇴, 주변부 쇠퇴, 도심 및 주변부 혼합쇠퇴로 유형화할 수 있다(OECD, 1998). 임준홍 등 (2009)은 도시 스케일에서의 도시쇠퇴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중심지역인 중심시가지(도심)의 쇠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영성 등(2010)은 우리나라 도시의 쇠퇴 정도를 평가∙비교함으로써 전국적인 도시쇠퇴 실태와 경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다양한 공간적 스케일에서 도시쇠퇴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적 차원, 동∙읍 ))차원, 도시 내 지구 차원에서 도시 쇠퇴의 현상적 실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지구 차원이란 쇠퇴가 진행되는 동질적인 공간을 의미하고, 현상적 실태란 개별 필지, 건물, 업소, 거주 가구의 단위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쇠퇴 양.. 2022.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