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재생
도시 쇠퇴 공간적 관점에서 도시쇠퇴는 도심 쇠퇴, 주변부 쇠퇴, 도심 및 주변부 혼합쇠퇴로 유형화할 수 있다(OECD, 1998). 임준홍 등 (2009)은 도시 스케일에서의 도시쇠퇴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중심지역인 중심시가지(도심)의 쇠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영성 등(2010)은 우리나라 도시의 쇠퇴 정도를 평가∙비교함으로써 전국적인 도시쇠퇴 실태와 경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다양한 공간적 스케일에서 도시쇠퇴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적 차원, 동∙읍 ))차원, 도시 내 지구 차원에서 도시 쇠퇴의 현상적 실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지구 차원이란 쇠퇴가 진행되는 동질적인 공간을 의미하고, 현상적 실태란 개별 필지, 건물, 업소, 거주 가구의 단위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쇠퇴 양..
2022.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