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재생
도시 쇠퇴 공간적 관점에서 도시쇠퇴는 도심 쇠퇴, 주변부 쇠퇴, 도심 및 주변부 혼합쇠퇴로 유형화할 수 있다(OECD, 1998). 임준홍 등 (2009)은 도시 스케일에서의 도시쇠퇴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중심지역인 중심시가지(도심)의 쇠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영성 등(2010)은 우리나라 도시의 쇠퇴 정도를 평가∙비교함으로써 전국적인 도시쇠퇴 실태와 경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다양한 공간적 스케일에서 도시쇠퇴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적 차원, 동∙읍 ))차원, 도시 내 지구 차원에서 도시 쇠퇴의 현상적 실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지구 차원이란 쇠퇴가 진행되는 동질적인 공간을 의미하고, 현상적 실태란 개별 필지, 건물, 업소, 거주 가구의 단위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쇠퇴 양..
2022. 9. 21.
도시 정부의 역할과 한계
도시 정부의 역할 일반적으로 정부의 활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Pacione, 2009). 첫째는 민간부문의 생산과 자본 축적을 향상, 지속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하부구조를 공급하고, 도시 계획이나 재개발 프로젝트 등을 통해 생산을 공간적으로 재(조직)하며,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안전 자본에 투자하며, 공공 사업 계약 등을 통해 시장을 안정화하고 수요를 조절한다. 둘째, 정부는 민간 부문을 대신하여 집합적 소비를 제공함으로써 자본주의에 필요한 노동력을 재생산한다. 공공 서비스는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이 필요하고, 시장보다 이윤율이 낮으며, 회수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도시정부가 공공기금을 투입하여 이를 공급, 관리한다. 공공..
2022. 9. 18.
도시 구조 이론 1
3 지대이론 로버트 디킨슨(Robert E. Dickinson, 1947)은 유럽 여러 국가의 도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의 기원 및 성장과 관련하여 도시의 형태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이 보존되어 있는 도시를 대상으로 유럽도시의 공간구조를 규명했다. 즉, 도시가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역사적 발전과정에 기초하여 중앙지대, 중간지대, 외곽지대의 3개 지대로 구분되어 발전한다는 3 지대 이론을 제안했다. 첫째, 중앙지대(central zone)는 도시의 중심부에서 형성되며, 시가지 형성의 역사는 중세 또는 전 근대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구시가지로 이루어진다. 이곳은 도시의 중심이 될 만한 건축물 및 철도역을 비롯하여 상업시설, 업무시설, 행정시설, 호텔, 주택 등의 다양한 기..
2022.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