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도시 경제 도시경제의 진화 도시의 발생, 성장과 발전, 쇠퇴 등에 대한 인문 지리학적 고찰은 결코 경제 지리적 과정 및 결과와 분리시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1950년대 중반 경제지리학에서 파생하여 현대적 의미의 도시지리학이 성립했던 역사가 암시하는 것처럼 도시 지리의 문제는 경제 지리의 작용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둘 사이의 관계는 한 방향의 단선적 관계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포스트메트로폴리스』에서 에드워드 소자(Edward Soja)가 강조한 것처럼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은 사회-공간 변증법적 사고와 분석의 프레임을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이현재 등, 2019). 같은 맥락에서 레드먼도 도시는 "첫 번째 요인이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등의 순으로 다른 요인을 자극한다.. 2022. 9. 27.
도시 경관과 건축 도시 경관과 도시 이미지 그리고 건축 경관(landscape)이란 지표면(land)의 형태학적 특성, 즉 풍경(scape)을 의미한다. 도시 경관(cityscape)은 지표면 중에서도 도시 공간의 형태학적 특성을 가리키는 용어다. 도시지리학에서는 도시 경관을 '관찰가능한 도시의 형태적 단위(observable units of urban form)'로 정의한다(Gregory et al.,2009). 도시지리학이 성립된 초기에는 도시 경관, 다시 말해 도시의 형태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는데 주로 토지 이용 패턴, 가로 구획, 건축물의 높이 같은 건조 환경을 주로 연구했다. 이 결과 마이클 컨젠(Michael Conzen, 1969; Gregory et al.,2009에서 재인용)은 도시 경관의 구성요.. 2022. 9. 23.
도시 재생 도시 쇠퇴 공간적 관점에서 도시쇠퇴는 도심 쇠퇴, 주변부 쇠퇴, 도심 및 주변부 혼합쇠퇴로 유형화할 수 있다(OECD, 1998). 임준홍 등 (2009)은 도시 스케일에서의 도시쇠퇴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중심지역인 중심시가지(도심)의 쇠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영성 등(2010)은 우리나라 도시의 쇠퇴 정도를 평가∙비교함으로써 전국적인 도시쇠퇴 실태와 경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다양한 공간적 스케일에서 도시쇠퇴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도시적 차원, 동∙읍 ))차원, 도시 내 지구 차원에서 도시 쇠퇴의 현상적 실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지구 차원이란 쇠퇴가 진행되는 동질적인 공간을 의미하고, 현상적 실태란 개별 필지, 건물, 업소, 거주 가구의 단위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쇠퇴 양.. 2022. 9. 21.
도시 주거 도시 내부 공간구조 및 주택 거주 지역에 대한 도시사회지리학적 관심의 초점은 일반적으로 도시공간구조에서의 거주지 분화 현상, 이주, 거주지역의 성격 등에 두어져 왔다. 도시공간구조와 관련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지리학, 특히 도시 및 사회지리학의 주요 주제들 중 하나다. 도시내부구조를 형성하는 제 요소들은 상호 기능적으로 연계되며 공간적으로 하나의 도시를 구성하게 되어 도시형태로 표출된다. 그렇다면 도시형태 또는 도시내부구조를 구성하게 되는 기능적 부분은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 그러한 기능적 요소들을 개괄적으로 그리고 공간적으로 범주화해 보면 거주기능 공간, 상업기능 공간(사무 및 서비스 기능 관련공간을 포함), 공업기능 공간 등으로 구분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 중에서 거주 기능 위주의 공.. 2022. 9. 19.
도시 정부의 역할과 한계 도시 정부의 역할 일반적으로 정부의 활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Pacione, 2009). 첫째는 민간부문의 생산과 자본 축적을 향상, 지속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하부구조를 공급하고, 도시 계획이나 재개발 프로젝트 등을 통해 생산을 공간적으로 재(조직)하며,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안전 자본에 투자하며, 공공 사업 계약 등을 통해 시장을 안정화하고 수요를 조절한다. 둘째, 정부는 민간 부문을 대신하여 집합적 소비를 제공함으로써 자본주의에 필요한 노동력을 재생산한다. 공공 서비스는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이 필요하고, 시장보다 이윤율이 낮으며, 회수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도시정부가 공공기금을 투입하여 이를 공급, 관리한다. 공공.. 2022. 9. 18.
도시 구조 이론 2 선형 이론 시카고의 부동산 회사에 근무하던 호머 호이트(Homer Hoyt)는 장기적인 부동산 가격의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시카고 대학에서 토지 경제학을 연구했다. 그는 미국 142개 도시를 대상으로 주택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여 1939년 「미국 도시 근린주택의 구조와 성장」이라는 저서를 통해 도시구조는 동심원지대 이론에서 다소 변형된 부채꼴 모양으로 전개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호이트가 제시한 선형 이론(sector model)은 버제스가 제시한 동심원지대 이론과 유사하지만 다소 발전시킨 형태로 인식된다. 호이트는 도시가 단순한 원형으로 발전하지 않고 부채꼴 모양의 선형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도시내에서 주요 간선교통로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개별 섹터에는 동일한 활동이 입지한다고 보았다. 각.. 2022. 9. 17.
도시 구조 이론 1 3 지대이론 로버트 디킨슨(Robert E. Dickinson, 1947)은 유럽 여러 국가의 도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의 기원 및 성장과 관련하여 도시의 형태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이 보존되어 있는 도시를 대상으로 유럽도시의 공간구조를 규명했다. 즉, 도시가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역사적 발전과정에 기초하여 중앙지대, 중간지대, 외곽지대의 3개 지대로 구분되어 발전한다는 3 지대 이론을 제안했다. 첫째, 중앙지대(central zone)는 도시의 중심부에서 형성되며, 시가지 형성의 역사는 중세 또는 전 근대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구시가지로 이루어진다. 이곳은 도시의 중심이 될 만한 건축물 및 철도역을 비롯하여 상업시설, 업무시설, 행정시설, 호텔, 주택 등의 다양한 기.. 2022. 9. 16.
도시 구조 도시 내부의 지역 구조 지역구조는 공간구조와 같은 개념이므로, 도시 내부의 지역구조는 도시 내부의 공간구조라는 표현으로 대체 되기도 한다. 도시의 지역구조는 도시 내부를 구성하는 요소의 배열 상태가 전체지역과의 관계를 의미하며, 도시의 공간구조는 요소의 공간적 위치와 배열뿐만 아니라 요소 자체의 패턴, 거리, 형태 등 기하학적 특징까지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용어는 도시가 공간 요소에 의해 공간적으로 조직된 전체라는 관점에서 차이가 없다. 우리가 지역구조를 분석하는 대상이 도시이고 도시라는 공간에서 전개되는 사상을 분석 지표로 삼기 때문에 도시 내부의 지역구조는 도시구조로 약칭될 수 있다. 즉, 도시구조는 도시의 내부구조를 의미한다. 도시 구조란 공간 범위를 도시로 한정하고 그 내부에 있는 다양.. 2022. 9. 16.
도시 성장과 도시화 도시 성장 흔히 도시가 성장했다고 말할 때 도시의 범위가 평면적으로 넓어지거나 또는 수직적으로 높아지는 모습을 보고 그렇게 말하기도 하고, 자가용이나 버스를 이용하면서 눈에 띄게 도로가 혼잡해지거나 지하철이나 전철 안에 사람이 가득해서 불편함을 느낄 때 도시 성장을 체감하기도 한다. 여러 관점에서 도시의 성장 또는 발달을 이야기할 수 있지만 도시의 성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시(urban)와 비도시(non-urban)의 차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윌리엄 프레이와 재커리 짐머(William Frey & Zachary Zimmer, 2001) 도시와 비도시를 구분하는데 세 가지의 요소가 있다고 주장했다. 첫째는 생태 요소(ecological element)로써 인구 규모와 밀도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요소.. 2022. 9. 15.
도시의 이해 도시의 정의 도시학자 루이스 멈포드(Lewis Mumford)는 "도시는 권력과 공동체 문화가 최대로 집중된 지점이다. 도시는 통합된 사회적 관계의 상징이면서 형태며, 도시에서 인간의 경험은 살아있는 신호, 행위의 상징, 질서 체계로 변형이 일어난다."고 했다. 즉, 도시는 정치권력과 경제행위의 심장부라는 것이다. 도시(都市)라는 용어의 한자는 칼과 창을 든 사람과 두건 위에 좌판을 이고 있는 모습을 상징하며, 정치와 경제 중심지를 의미한다. 그러나 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흐름 속에서 지역 여건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도시는 시대적, 지역적 개념으로서 이해해야 한다. 도시는 영어로 'city' 또는'urban place' 다. 'city'는 라틴어 'ci.. 2022. 9. 15.